-
백내장 치료, 언제 수술해야 할까? 수술시기, 예방법건강 정보 2021. 1. 25. 22:27반응형
백내장은 사물이 안개가 낀 것처럼 흐려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안과 질환입니다. 카메라 렌즈에 해당되는 눈 속의 수정체가 뿌옇게 흐려져 시력이 감소하고 시야가 흐려지는 백내장! 백내장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내장을 유발하는 원인
- 노화 - 백내장은 대부분 노화로 생깁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딱딱한 수정체가 초점을 바꿀 수 없게 되면서 노안이 발생하게 되고 이 수정체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쌓이게 되면 뿌옇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백내장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 자외선 - 자외선 중에서도 파장이 긴 자외선 A로 인해 백내장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자외선 A의 파장은 400~315mm 정도로 조금 길기 때문에 눈속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백내장을 일으키는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 흡연 -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광범위하게 조사를 했는데 흡연자가 백내장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 그 외 질병요인 - 당뇨병, 비만, 스테로이드 장기간 사용, 외상, 선천성 백내장, 병력과 같은 질병요인이 백내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백내장을 의심할 만한 증상은?
처음에는 흐릿하게 보이고 백내장이 조금 진행이 되었으면 눈이 부신다든지 특히 밖에서 눈이 부신다든지 빛이 번져 보인다든지 시력이 떨어진다든지 실생활에서 느껴지는 불편함을 통해 백내장을 의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눈이 침침하다.
- 눈에 뭔가 낀 것 같이 뿌옇게 보인다.
- 밤/낮의 시력 차이가 많이 난다.
- 안경을 써도 눈이 잘 안보인다.
- 최근 안경도수가 많이 변했다.
사진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백내장 치료, 수술 외에 다른 방법은?
백내장의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진게 없습니다. 따라서 완치를 돕는 치료 약을 만들 수가 없어서 백내장 치료 약은 따로 없습니다. 백내장 초기에는 약물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약물의 효과가 미약하기 때문에 큰 기대는 어렵습니다. 또 안경으로 교정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진행된 백내장의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은 수술밖에 없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백내장의 수술시기는?
일반적인 경우 가장 우선시하는 것은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입니다. 그래서 백내장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더라도 전혀 환자가 불편해하지 않고 백내장이 다른 합병증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하면 수술을 늦춥니다. 반면 백내장이 심하게 진행되지 않았지만 환자의 불편감이 크고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진다고 느낀다면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 환자가 하고 싶을 때 (불편할 때)
- 교정시력이 0.5가 안될때 (많이 불편하기 때문에)
빨리 수술해야 하는 경우
백내장이 심하지 않아도 빠른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폐쇄각 녹내장이라고 백내장때문에 생기는 녹내장이 있습니다. 폐쇄각 녹내장은 원인이 백내장이기 때문에 원인을 제거해줘야 합니다. 또 백내장이 너무 심한 상태에서 수술을 하면 수술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에 너무 심해지기 전에 수술하는게 바람직하고 망막과 시신경이 잘 안보이면 망막과 시신경을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빠른 수술이 권유됩니다.
백내장 수술 전 유의사항은?
백내장 수술은 눈 속을 조금 절개하고 수술하기 때문에 눈 밖에 있는 물질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눈 주변에 염증이 있으면 안됩니다. 염증이 있다면 사전에 치료를 마치고 수술을 해야 합니다. 또 당뇨나 고혈압같이 전신에 질환이 있을 경우 조절을 해야 합니다.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서 수술을 못하는 경우도 있고 당뇨가 어느 수치 이상 올라가게 되면 수술 후에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을 연기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안구건조증도 조심해야 하는데, 수술 전에 안구건조증이 있으면 미리 치료를 하고 수술을 해야 됩니다. 백내장 수술 후 안구건조증이 심해지는 경우 많기 때문에 수술 후에 원래 있던 안구건조증과 합쳐지게 되면 굉장한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눈물 등을 통해 안구건조증을 어느정도 가라앉히고 수술해야 됩니다.
백내장 예방법은?
질병의 예방은 원인을 없애는 것입니다. 외출 시에는 모자와 자외선 차단 안경을 쓰는게 좋고 담배는 끊어야 하겠습니다. 또 비만이 백내장의 확률을 높인다고 하니 비만관리를 해주면 백내장의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백내장에 좋은 음식에 대해 많이 검색해보실텐데, 음식과 관련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고 합니다.
백내장 정리
백내장은 사물이 안개가 낀 것처럼 흐려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면 치료를 해야 합니다. 치료방법은 초기에는 약물 사용해 볼 수 있는데 효과가 미약하기 때문에 큰 기대는 어렵습니다. 진행된 백내장의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은 수술밖에 없는데, 수술은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두가지 과정의 수술을 합니다. 백내장수술은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늦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내장은 노화와 자외선이 주된 원인인 만큼 수정체 탄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40대 이후에는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받아야 하며 외출 시에는 모자와 자외선 차단 안경을 쓰는 생활을 해야 하겠습니다.
라식, 라섹하면 백내장이 빨리 온다? 백내장 FAQ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져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는 안과 질환입니다. 라식, 라섹, 스마일라식과 같은 시력교정술은 레이저로 각막을 교정하는 수술인데요. 흔히 묻는 질문
daldalmocha.tistory.com
※ 더 자세한 사항은 의료전문인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다실9 3차 접종 후기 (총3회 접종완료) (2) 2021.02.01 라식, 라섹하면 백내장이 빨리 온다? 백내장 FAQ (2) 2021.01.28 척추관협착증 치료, 수술이 필요한 경우 (0) 2020.12.30 기저질환 뜻, 위험성 (0) 2020.11.23 가다실9 2차 접종 후기 (2) 2020.10.10